경향신문이 현실을 잘 반영하는 것 같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나는 솔직히 신문을 많이 본다 대학시절에는 평균 2시간 정도 보고 심지어 공부하듯이
밑줄을 그려가며 보기도 합니다
80년대는 대학시절은 시대상황에 민감하고 심지어 학과공부만 하는 친구들은
자기의 출세만을 위한 소인배 취급을 하곤 했다
그런 시대에 대한 고민은 왜 그럴까 하는 의문을 낳았고 그래서 신문이나 말지같은 월간지를
많이 보게 된것 같다 그 당시에는 동아일보를 많이 보았다
그래도 정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도 하는 조금은 개혁적인 신문이라고 본다
조선은 그 당시에도 한나라당 성향이었고 기득권을 추종하는 신문사라고 보았다
중앙은 기업의 이익이나 경제기사에 능한 신문이라는 느낌이 많았다
그 당시 경향은 주간경향이라는 가십성 잡지로 연예기사나 다루는 시시껄렁한 신문사였다
한겨레는 신문면수는 작고 정치기사가 너무 많은 조금은 역감정을 느낄만 한 신문사였다
그리고 탄압을 많이 받는 신문사였다
그런데 시대가 변해서 신문사의 성향도 많이 바뀐 것 같다
특히 나의 입장에서 동아의 변신은 나를 슬프게 했다
신문은 조선시대로 보면 사간원의 역할을 하는 곳으로 본다
그런데 그런 기능은 거의 하지 못하고 집줜자의 비위나 멎추는 기사를 남발하는 것이다
사회의 문제가 있고 어려운 부분을 건드려 주는 것이 아닌 정권홍보방송같은 느낌을 주는
것을 볼 때 이러면 중산층이하의 국민이 피곤해지는데 하는 생각이 든다
신문은 현실을 반영해야한다 물론 신문사의 성향에 따라서 논조가 틀릴수도 있고
강조하는 부분이 다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메이저신문들은 과연 그런 기능을 하는가
비정규직의 어려움,청년 백수의 문제, 중년 실업자의 가정문제,
근로자의 근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등
이런 것은 잘 다루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볼 때 경향신문은 그래도 조금은 일반 노동자의 문제나 사회의 어두운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일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는 것 같다 노동조합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지만
경향신문 추천은 잘 할 것 같다 그래도 우리의 이야기를 담고 잇으니
이만호 기념으로 초등학생의 생활이야기가 나왔는데 초등생도 문제지만
학부모도 문제가 많다는 생각이 든다 초등생 한달 학원비가 서룰의 경우 월 100이라는 기사는
나의 허리를 짓누르는 것 같다 이런 현실이 빨리 고쳐져야 할 텐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