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하들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하는 상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오늘날 조직사회에서 부하들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하는 상사는 다음과 같은 유형을 30가지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구성원들의 융화만 존중할 뿐 엄한 지도력과 통솔력을 갖추지 못했다
2)실패 했을 때의 상황에 신경을 쓰고 돌다리를 두드리기만 할 뿐 건너려 하지 않는다
3)공과 사를 혼돈하여 조직의 목적과 개인적인 사정을 구별하지 않는다
4)대외적인 절충과정에서 상대의 의견에 따라가기만 할 뿐 관철 시켜야 할 문제를 주장할 줄 모른다
5)가까운 미래에 어떤 사태가 전개될 것인지 전망을 할 줄 모른다
6)조직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 것인지 그 가능성을 제시 할 줄 모른다
7)업무 파악에 게을러서 무슨 일이 발생할 때마다 부하에게 물어본다
8)부하가 일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일상적인 문제로 말을 건다
9)명령을 내릴 때, 단호하지 못하고 주저하는 모습을 보인다
10)과장은 계장에게 명령해야 하는데 한 단계 건너 담당자에게 직접 명령한다
11)함부로 행동하는 부하를 꾸짖지 않고 방치한다
12)업무에 자신이 없기 때문에 부하에게 의연한 태도를 보여주지 못한다
13)담당자가 없을 때, 그를 대신해서 업무를 대행할 능력이 없다
14)현장 업무를 관념적으로만 이해하고 이론적으로만 발언한다
15)업무 이외에 정치 전반에 대한 식견이 부족하고 시야가 좁다
16)결단이 늦고 거취가 불분명한 부하에게 올바른 판단을 제시하지 못한다
17)조직이 위기에 빠졌을 때, 당황하고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 상황을 악화시킨다
18)다른 부서로 잡담을 하러 가서 오랜 시간 자리를 비운다
19)부하 앞에서 다른 부서의 직원이나 동료와 수군거린다
20)인사이동 권한이 없으면서도 마치 자기에게 그런 권한이 있는 것처럼 직원들의 희망을 묻고 다닌다
21)금전에 인색하여 생각하는 스케일이 작다
22)함께 술을 마시거나 식사를 하는 것으로 업무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려 한다
23)사소한 문제만 지적하고 기본적인 문제를 간과한다
24)외부에서 어려운 문제를 요청할 때, 즉시 변경이나 철회를 요구하지 않는다
25)자신의 질병을 적극적으로 밝히는 것으로 무능함을 보완하려 한다
26)배신자를 너그럽게 봐주고 돌아오면 기꺼이 받아준다
27)조직이나 자신, 부하에 대해 상승지향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다
28)취미에만 몰두하여 그 방면의 성취도를 직장에서 과시한다
29)호언장담이나 연설, 잡담을 좋아하여 무슨 일만 있으면 즉시 그 이야기에 열을 올린다
30)자신을 위해 조직을 이용할 생각만 하고 조직을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제목:오다 노부가와의 카리스마 경영 지은이:도몬 후유지 출판사:경영정신)
[출처] 일본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가진 오다 노부나가의 30가지 항목|작성자 브레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