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오프 갈등 고조(펌)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타임오프 갈등 고조(펌)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846회 작성일 10-06-01 13:05

본문

'타임오프 교섭' 갈등 고조
상의 전임자 급여보장 요구 단협 응하지 말라
노동계선 보충교섭 합의 했을땐 협상 나서야 반발
'타임오프 매뉴얼' 조율 끝내

한달 앞으로 다가온 타임오프(근로시간면제) 시행에 대비해 경영계가 단체협약 갱신이나 보충교섭을 통해 노조 전임자 급여 보장을 관철시키려는 노동계의 요구에 일절 응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노동계는 제도 시행과 상관없이 단협의 유효기간이 남아 있거나 이미 보충교섭을 하기로 노사가 합의한 사업장을 중심으로 전임자 처우 보장을 요구할 태세여서 노사 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31일 경영계와 노동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7일부터 '타임오프 관련 기업의 대응방안'을 주제로 전국 순회 설명회를 하고 있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이번 설명회는 노동부가 14일 타임오프 한도를 고시함에 따라 전국의 회원사를 상
대로 이뤄지는 것이라면서 타임오프와 관련한 노조법 개정 내용과 단체교섭 체결
방향 및 노무관리 방안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설명회에서 현행 단체협약 유효기간 만료일이 타임오프가 시행되는 오
7월1일 이후라도 노조가 이를 근거로 조기 단체교섭 또는 보충교섭을 요구할 경
우 이에 응하지 말라고 지침을 내렸다. 대한상의의 관계자는 올해 1월1일 전에 노사가 맺은 단협만 남은 유효기간만큼 전임자 급여 지급이 가능하다면서 노조가 유효기간이 남아 있음에도 단협 갱신이나 보충교섭을 진행하자고 하는 것은 평화의무 위반으로 사측이 교섭에 응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즉 현행 단협 유효기간이 9월30일인 사업장의 경우 사측은 이 기간까지만 현재 노조 전임자 및 처우를 유지하고 그 이후부터는 새 노조법의 타임오프 한도를 적용하며 된다는 이야기다.

대한상의는 현행 단협이 제도 시행인일 7월 전에 만료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회사
가 노조의 교섭 요구에 응하되 타임오프 한도를 벗어난 새로운 단체협약은 체결하지말도록 했다.

 
이는 단체협약에 관한 경과조치를 명시한 개정 노조법 부칙 3조가 올해 1월1일 당시 유효한 단체협약만이 그 유효기간까지 효력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협을 체결할 경우 조합원 규모에 따라 부여된 타임오프 한도 내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게 상의 측 주장이다.

경영계의 이 같은 주장에 노동계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노동계는 이미 노사가 지
난해 단협을 통해 노조법이 개정될 것을 대비해 보충교섭을 하기로 정했을 경우 사
측은 노조의 교섭에 충실히 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노조
법이 개정되는 것은 보충교섭을 할 수 있는 사정변경 요건에 해당 된다면서 특히
노사가 지난해 단협을 통해 보충교섭을 벌이기로 했다면 제도 시행과 관련 없이 노
사가 자율적으로 전임자 보장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타임오프 매뉴얼과 관련, 28일 노사정이 최종 의견 조율을 끝낸 것으로 알려졌
다. 이에 따라 금명간 노동부가 타임오프 매뉴얼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349
어제
890
최대
15,069
전체
2,175,855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