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이대론 안된다.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진보신당 이대론 안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911회 작성일 10-06-09 13:05

본문

지방선거뒤 깊은 내홍

말 그대로 ‘격랑’이다. 쟁론의 강도가 ‘참패’를 자인한 한나라당 못잖다. 25명의 광역·기초의원당선시킨 지방선거 결과를 두고 “악조건 속의 선전”이라 자평했던 진보신당의 최근 풍경이다. 당원과 당직자들에 이어 선거에 출마했던 당선·낙선자들이 입을 열었다. 부산 해운대구와 서울 마포구, 관악구에서 구의원에 도전했던 김광모·오진아·홍은광씨다.

이들은 각각 야5당 단일후보(김광모)와 야3당 단일후보(오진아), 진보신당 독자후보(홍은광)로 출마해 20% 넘게 득표했다. 공교롭게도 독자후보로 나선 홍씨만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이들이 털어놓는 소회는 절절했다. 쟁점이 됐던 ‘야권연대’에 관해선 견해가 갈렸지만,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은 한결같았다.

당의 독자노선가장 비판적인 이는 김광모 당선자였다. 그는 9일 인터넷 매체 <레디앙> 기고 글에서 “이번 선거에서 국민들의 마음은 한나라당 심판이었다”며 연대에 소극적이었던 중앙당의 ‘경직성’을 꼬집었다. 그가 전하는 선거판 현실은 진보신당 입장에선 참담함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진보신당의 당 대표를 이회창으로 알고 있거나, 진보신당을 야 5당이 단일화해서 만들어진 정당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부지기수였다.” 자신 역시 야권연대 반대론자였지만 막상 선거판에 뛰어들어 보니 “심상정의 눈물이 이해가 되더라”는 것이다. 그는 “정체성이 훼손될까 두려워 스스로 움츠러든다면 진보신당은 결코 대안 수권세력이 될 수 없다”고 쓴소리를 쏟아냈다.


1276077359_8000484764_20100610.JPG
» 심상정 진보신당 전 대표가 지난달 31일 야권단일화를 위해 경기지사 후보를 사퇴한 뒤 경기 고양시 덕양구 사무실에서 유시민 경기지사 후보를 만나고 있다. 고양/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서울 마포구에서 ‘비민주 야 3당’(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 단일후보로 나와 26%를 득표한 오진아 당선자 역시 야권연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한겨레>와 전화통화에서 “선거운동기간 유권자들로부터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이 ‘진보신당과 민노당이 왜 따로 있느냐’는 것이었다”며 “‘단일화했다’는 말에 반색하며 ‘잘했다’고 칭찬하는 걸 보면서 야권연대의 힘을 실감했다”고 했다. 그는 다만 “지역마다 각 당의 역량이나 유권자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곳의 상황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진보정당 구의원 후보 가운데 가장 많은 27.6%를 득표하고도 낙선한 홍은광씨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이번 선거를 통해 운동세력의 한 분파에 머무르고 있는 당의 한계가 여실히 노출됐다”며 “당의 비전이 없다면 30% 득표도 소용없다”고 잘라말했다. 하지만 ‘조건 없는 반이명박 연대’에 대해선 부정적이었다. “당의 대중적 기반이 확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이명박 전선’에 휩쓸릴 경우, 진보 정치세력이 새로운 길을 개척할 기회를 잃게 된다”는 이유다.

19일 열리는 전국위원회에서 젊은 활동가 그룹은 당의 정체성과 진로 문제를 포함한 전면적 쇄신책을 요구할 계획이다. 앞서 11일에는 당내 모임인 진보정치포럼 주최로 지방선거를 평가하고 당의 진로를 모색하는 긴급토론회가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열린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347
어제
890
최대
15,069
전체
2,175,853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