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무인경천철 4호선 “대형참사 부를라”

개통한지 5일간 4차례나 운행중단, 부산지하철노조 예견된 사고주장

 

93a369232f99705b66576d1ae6933d99.jpg 

 

국내 첫 무인 경전철인 부산도시철도 4호선의 안전성이 도마위에 올랐다. 지난달 30일 개통되며 국내최초 무인지하철로 ‘5중 안전장치’를 갖췄다고 대대적인 홍보속에 개통한 부산도시철도 4호선이 지난 5일간 운영되면서 모두 4차례나 고장을 일으킨 것.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부산지하철노조에 따르면 개통이후 열차운행이 중단된 해당사고내역은 다음과 같다.

△ 3. 31 20:54 4호선 미남역 11분간 열차운행 중단 (스크린도어 장애)

△ 4. 1 16:25분에는 미남역 9분간 열차운행 중단 (열차출입문장애)

△ 4. 4 00:04 명장역 23분간 열차운행 중단 (추진제어장치 장애로 자동출발불가)

△ 4. 4 06:30 안평∼고촌역 7분간 열차운행 중단 (신호장애로 인한 열차지연발생)

 

이 때문에 승객 15명이 열차 안에 20여분간 갇혔다가 빠져나온 뒤 다른 교통편을 이용해 귀가하는 불편을 겪었다. 부산교통공사는 고장난 열차를 수동운전으로 안평차량기지로 끌고가 1차 고장원인을 조사한 결과 견인전동기 과부하로 인한 모터 합선으로 전동차 바퀴가 멈춰 선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4일 오전 6시30분 안평역에서 신호장애로 열차 출발이 7분가량 지연되는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자 도시철도 4호선을 이용하는 부산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한편 부산지하철노조는 개통이후 연달아 일어난 이번 사고는 시운전기간인 지난 3월 16일부터 3월 28일까지 있었던 연이은 26건에 달하는 각종 사고의 연장선이었음을 폭로해, 이번 사고는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가 애써 외면한 ‘사전 예고된 사고’였음이 밝혀졌다.

 

 

 

“안전보단 돈”택한 부산시, 부산교통공사

부산지하철노조 “효율보단 시민의 안전과 공익을 우선해야” 주장

 

 89984b20ae5e3eaae8ce9ff099e86e3c.JPG

   

무엇보다 3호선 2단계 구간이 통과하는 반송지역 주민들이 심각한 불편을 겪을 수 있다고 노조는 꼬집었다. 현재 반송지역은 전체 주민 5만6천여명 중 장애인이 3천여명에 달하는데다 타 지역보다 노약자의 비율이 높다는 것. 이른바 교통약자로 불리는 ‘장애인, ’노약자‘ 등의 교통이용율이 높아 다른 노선보다 안전과 편리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현재 부산시와 교통공사의 계획대로 전구간을 무인운영 한다면 교통약자들은 불편하고 불안전한 상태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며 비난했다.

 

노조 관계자는 “반송선 무인시스템을 폐지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며 “고용 등 노동환경을 훼손하는 것 뿐 아니라 지하철의 공익성을 심각하게 해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지하철노조는 4월 중 개최될 단체교섭에서 ‘무인운영 문제’를 핵심쟁점화 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노조는 4월 중으로 장애인 단체를 비롯 부산지역 시민단체들과 연대해 대책위를 꾸린 뒤 전 시민적인 반대운동을 펼쳐가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