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연체율 폭증, 가계부채 대란 시작인가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제2금융권 연체율 폭증, 가계부채 대란 시작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220회 작성일 12-07-24 13:05

본문

제2금융권 연체율 폭증, 가계부채 대란 시작인가

카드, 캐피탈, 저축은행 연체율 수직상승

2012-07-24 09:38:47

 

제2금융권 가계부채가 `부채대란'의 도화선이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연체율 상승률은 제1금융권인 은행권 상승률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더구나 올해 제2금융권 부채가 급증 추세여서 심각한 후폭풍이 우려된다.

24일 금융권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전체 카드사 대출자 중 30일 이상 연체자의 비율은 지난해 1월 4.5%에서 올해 5월 5.6%로 뛰어올랐다.

캐피탈사와 저축은행은 더 심각하다. 캐피탈사는 6.1%에서 8.2%로, 저축은행은 12.2%에서 14.9%로 각각 2%포인트 이상 치솟았다. 상호금융사도 3.7%에서 4.1%로 상승했다.

시중은행은 2.2%에서 2.3%로 0.1%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더 심각한 문제는 지난해부터 은행권 가계대출을 규제한 결과 제2금융권 가계빚이 급속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해 12월 455조9천억원에서 올해 5월 456조7천억원으로 8천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에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83조7천억원에서 186조원으로 2조3천억원이나 늘었다. 증가폭이 시중은행의 3배에 달한다.

제2금융권 가계부채의 심각성은 이들 대출자가 대부분 생활이 어려운 서민이라는 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제2금융권 이용자는 신용등급이 낮아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힘들거나, 은행 대출한도가 꽉 차서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린 서민들이 대부분이다고 말했다.

물가 급등과 실질소득 감소, 자영업 경쟁 격화 등으로 이들의 빚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정부의 `2011년 가계금융 조사'를 보면 순자산 하위 20% 가구의 평균 신용대출은 2010년 882만원에서 지난해 1천98만원으로 24.5% 급증했다. 상위 20%의 신용대출(774만원)보다 더 많다.

카드대출은 순자산 상위 20%가 17만원이지만 하위 20%는 119만원에 달한다. 결국 형편이 어려운 서민층이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제2금융권 빚을 급격히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벌어들인 돈의 무려 4분의 1을 빚 갚는데 쓰고 있다. 순자산 하위 20%의 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평균 24.5%에 달한다.

최근 보험 해약이 급증하고 `카드 돌려막기' 사례가 많이 늘어난 것도 부채 부담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경기가 어려워질수록 저소득층이 받는 타격은 상위계층보다 훨씬 크다며 저축 등 여유자금이 없다 보니 제2금융권이나 사금융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박덕배 전문연구위원은 `금융취약계층'으로 부를 수 있는 서민층의 연체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며 대출이자율 인하나 부채상환기간 조정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MB정부, '집부자들' 양도소득세 대폭 완화

 

김종인 DTI 규제완화? 그런 짓 하지마라

손을 놓고 있을 수밖에 없으면 손 놓고 있는 게 상책  

http://www.viewsnnews.com/comm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45
어제
2,765
최대
15,069
전체
2,183,953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