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부산 논평] 안전인력 충원, 재정마련 방안 빠진 부산도시철도 “종합안전대책”은 “요금인상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보도자료] 안전인력 충원, 재정마련 방안 빠진 부산도시철도 “종합안전대책”은 “요금인상 대책”
○ 부산교통공사가 2027년까지 9,820억원(국비 5천658억 원, 시비 3천6억 원, 교통공사 자구노력 1천156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1호선 전동차 교체와 리모델링, 낡은 시설물 교체, 도시철도 안전관리 시스템 강화 등 3개 분야를 중점으로 한 도시철도 종합안전대책을 발표하였다.
○ 부산교통공사는 시민안전을 최우선 확보하겠다고 안전대책을 발표하였지만 안전인력 충원과 재원마련 방안이 빠져있어 결국 안전은 없고 무리한 사업추진을 위한 지하철 요금 인상만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1호선 노후차량(25년경과) 교체의 경우, 전체 360량 중 186량에 대한 교체 계획만 있고, 2018년을 기준으로 노후차량이 되는 174량은 리모델링 계획만 있어 근본적 안전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지하철 안전을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수습을 위한 안전인력 충원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현재 지하철 1호선에서 3호선은 1인 승무제, 4호선은 무인열차로 운영되고 있어 사고 발생 시 대처 인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관계자에 따르면 “지하철 사고 발생 시 역무원, 승무원 인원 부족으로 골든타임 안에 사고 수습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며 “인력 충원과 외주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함에도 공사 측이 안전보안관제(비정규직)를 시행하는 것은 안전을 도외시하는 대책이다.” 전했다.
○ 통합진보당 고창권 부산시당 위원장은 “오작동으로 인한 지하철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현실에서 1인 승무와, 무인열차 운행은 대단히 위험하다”며 “지하철 안전에 꼭 필요한 신호, 운전, 통신 등 인력 충원이 없는 종합안전대책은 다시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통합진보당 부산시당은 부산교통공사의 종합안전대책이 요금인상을 불러오는 허황된 대책이 되지 않도록 지역의 시민사회와 함께 신규인력 충원과 재원조달 가능한 중장기 종합안전대책 마련을 촉구 할 예정이다.
대변인 홍기호 010-7341-00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