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크게보기 |
행정자치부가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개최하려던 설명회가 공기업 노조원들의 반발로 무산됐다./사진=남형도 기자 |
정부가 지방공기업들의 연내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개최하려던 설명회가 지방공기업 노조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지방공기업 노조 측은 설명회가 열릴 예정이었던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을 점거하며 임금피크제 도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행정자치부는 7일 오후 2시부터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에서 142개 지방공사 사장과 지방공단 이사장들이 참여한 가운데 임금피크제 도입 촉구를 위한 지방공기업 사장단 긴급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노조 반발로 파행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이날 행자부는 지방공기업이 임금피크제를 가능한 빨리 도입할수록 경영평가 시 가점을 많이 받을 수 있다며 '가점부여 세부방안'을 지방공기업 사장단에 전할 계획이었다. 지방공기업이 임금피크제를 조속히 도입할 수록 가점을 많이 준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하지만 양대노총 공공부문 공동투쟁본부 등 지방공기업 노조원 100여명은 행사장소인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 입구에서부터 임금피크제 도입에 반발하는 집회를 가졌다.
 |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도입에 반발하는 노조원들이 7일 오후 2시 행자부가 개최하려던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 앞에서 반발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남형도 기자 |
전순영 공투본 공동위원장은 "청년 일자리는 근거 없는 임금피크제를 통한 임금 삭감 방식이 아닌 1817명의 미충원 인력을 청년들에게 일자리로 제공해야 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강압적으로 공공비정규직 노동자를 내모는 것이 아니라 노사가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자부가 설명회를 열려던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 3층 행사장 단상도 지방공기업 노조원들이 점거해 설명회가 개최되지도 못했다. 지방공기업 노동자들은 노동시간을 단축하거나 총 인건비를 늘려 청년 일자리를 만들라며 임금피크제 도입에 반발했다.
대구지하철노동조합 위원장은 "기존 인건비로만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건데 종사자들의 임금을 깎아서 지급하는 건 정부가 날강도인 것"이라며 "총액 인건비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