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시철도공사 임금피크제 도입 노사합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합원 이름으로 검색 댓글 8건 조회 13,828회 작성일 15-12-01 10:18본문
[단독]서울도시철도공사, 1일 새벽 임금피크제 도입 노사합의
서울메트로 이어 서울 지하철 양공사 모두 타결…142개 지방공기업 중
부산교통공사만 남아
김희정 기자|입력 : 2015.12.01 10:04
서울메트로에 이어 서울도시철도공사가 1일 새벽 임금피크제 도입에 노사가 전격 합의했다.
이로써 전국 지방공사 중 규모가 가장 큰 서울지하철 양공사가 나란히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게 돼
공기업을 통한 임금피크제 확산도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1일 행정자치부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와 회사는 막판 진통 끝에 이날 새벽 임금피크제 도입에
전격 합의했다.
이로써 지난 28일 서울메트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키로 한데 이어, 서울시 산하 지하철 양공사가 나란히
임금피크제 도입에 합의를 도출했다. 서울메트로는 이 중 임금피크제 도입 이후의 신규 채용규모가 478명으로,
전체 지방공기업 채용 목표치의 50%에 달한다.
여기에 서울도시철도공사까지 포함해 서울지하철 양 공사의 채용규모는 전체 지방공사 채용규모의 60%에
육박한다. 행자부는 전체 지방공사·공단 142곳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절감된 인건비로 청년 일자리 1,010개를
새로 만든다는 목표다. 현재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사 간 합의로 전체 지방공사·공단 142곳 중 부산교통공사를
제외한 모든 지방공기업이 임금피크제에 합의한 상태다.
행자부 관계자는 "부산교통공사 역시 다른 지방공기업들처럼 무난히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는 모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연맹 소속이며 부산교통공사의 교섭권을
가진 노조도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소속이다. 한편 행자부는 그동안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도입의 '데드라인'을
지난 11월 말로 정하고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않으면 경영평가 감점을 부여하겠다며 드라이브를 걸어왔다.
지방공기업 임직원들의 성과급은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행자부는 임금피크제 미도입 기관에 대해서는
총인건비 인상제한까지 검토하겠단 입장이다.
댓글목록
정의님의 댓글
정의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가방님의 댓글
가방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코치님의 댓글
코치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도철님의 댓글
도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이것참님의 댓글
이것참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전국구님의 댓글
전국구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진짜도철님의 댓글
진짜도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궤도님의 댓글
궤도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서울지하철노조, 5678서울도시철도노조, 부산지하철노조는 행자부의 임금피크제 강압 규탄, 위법한 페널티 방침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10일 행자부 앞에서 진행했다.
서울지하철노조는 임금피크제 도입 문제로 쟁의행위를 결의하고 11년만에 파업을 고려하고 있고,
-----> 11월 27일 합의했고
5678서울도시철도노조의 경우도 노사분쟁이 불거지고 있다.
-----> 11월 30일 합의했고
부산지하철노조의 경우 사측이 간부 직원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일방추진하며 도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측의 임금피크제 강압 배경에는 행자부가 있다.
행자부는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에 따라 경영평가 지표 반영안으로 협박하더니 급기야 임금인상율 차등적용안을 발표하였다. 특히 행자부의 ‘총인건비 차등기준(안)’은 행정절차법 및 행정지도의 상식과 원칙에 부합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이기 무슨 궤도3사 ㅈㄹ 염병,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ㅃ 이고 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