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역시 바보가 아니구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바보 이름으로 검색 댓글 12건 조회 14,695회 작성일 15-11-28 15:46본문
임단협 노사합의 타결
▲ 5·6급 추가 승진 합의, 장기 승진적체 해소 ▲ 복지 포인트 전 직원 25만원 공통 포인트로 인상 ▲ 통상근무자 조정수당(월 9만원 수준) 신설 ▲ 야식비·지정식당 지원금, 명절 식대 인상 및 신설(야간) ▲ 임금피크제 조정액 최소화, 임금보전·재취업 일자리 확보 ▲ 업무직 장기근속 수당 신설 등 처우 개선 큰 진전
■ 노사는 27일 오후 7시 임단협 본교섭을 열어 속개와 정회를 거듭하며 마라톤 협상을 진행한 끝에 다음 날 새벽 3시 경 합의 타결로 마무리했다.
■ 이번 임단협 최대 쟁점 중 하나인 승진적체 해소와 관련, 기 노사합의 잔여 승진 예정자 외 장기 적체자 추가 승진에 대해 공감대를 끌어내 최종 합의를 맺었다.
이로써 2013년 노사합의 승진기준에 포함되지 못한 5·6급 직원(승진소요연수 각 10년, 9년 이상 경과자) 추가 승진의 길을 터 장기승진적체 문제가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 임금은 정부 지침 제약을 벗어나지 못했으나(3.8% 인상, 자연증가분 1.4%이내 별도), 전 직원 복지포인트 25만원 인상(250P 공통)을 합의했다. 임금협약과 관련 2016년 4월부터 통상근무자 조정수당 신설(통상임금 3%) ▲기능장 기술자격 수당 8만원 책정 등에 합의했다.
■ 사기진작 차원에서 야간근무자 야식비는 월 2만원, 지정식당 식비 는 1식 3천원으로 인상하고, 명절 근무자 주간 식대 7천원 인상과 함께 야간식대도 지급하기로 했다.
■ 교대·교번 근무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었던 대체휴일 시행은 2016년에 2일을 지원근무일에 부여하기로 합의했고, 통상근무자는 자기계발·촉진연차 휴가를 12회 분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했던 임금피크제는 공공기관 중 최소 기간, 최소 감액율인 ▲2년간 30% 적용(59세 10%, 60세 20%)하되 ▲임금손실 최소화 방안 마련 ▲근로시간 및 업무 경감 ▲퇴직 후 재취업 일자리 제공 등 보완책을 마련했다. 또한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확대, 청년의무고용 확대 정책을 병행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편 정년제도와 관련해서는 이후 공무원 정년연장과 연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 집행부는 행자부의 강압 통제와 2노조의 분란 조장 등 안팎으로 어려운 교섭여건 속에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에 두고 결단을 내렸다. 거의 모든 공공기관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상황임을 감안, 불이익 최소화와 퇴직 후 소득 기회 마련 등 보완 협상의 여지가 있을 때 매듭짓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 한편 임금피크제는 매년 노사가 합의하여 재설계키로 해 지속적인 보완과 조속한 폐지를 과제로 남겨두게 됐다.
댓글목록
은하철도777님의 댓글
은하철도777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서울님의 댓글
서울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서울노예님의 댓글
서울노예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서울도철직원님의 댓글
서울도철직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우린 바본데요.
메트로에 뒤통수 맞고.
진짜도철님의 댓글의 댓글
진짜도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불가님의 댓글
불가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1.2급만 임금피크제 하고
3급이하는 합의할 수없다
박 정부 2년 남았다
그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노동조합 합의하면 어용입니다
합의는 절대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