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함 생각해 보았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임금 피크제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한번 생각해 보았습니다..
제 계산이 틀릴수도 있으니 이런 생각도 있구나 하고
함 보아 넘겨 주세요^^::
● 우선 검토 조건을 달아 보겠습니다.
1. 연봉 : 8,000만원
2. 퇴직금 ; 잔여 20년(중간 정산은 한번씩 다들 ㅎㅎ)
3. 교대 => 일근 전환시 4급 기준 60만원차(209시간이라서~~)
4. 대상자 : 16년 - 53명, 17~1⑧년 - 137명(본사 자료임)
● 임금(1인당) : 공로연수는 제외 : 본인의사)
구 분 임피제 도입시 임피제 미도입시 차액
1⑧년 -400만원 5%(8,000*0.05) -720만원(60만원*12개월)
17년 -400만원 5%(8,000*0.05) -720만원
16년 -2,400만원 30%(8,000*0.3) - 720만원
퇴직금손실 ??? -2,160만원(60*20년)
계 -3,200만원 -3,360만원 -160만원
임피제 도입 미도입시 임금차는 160만원정도 납니다.
물론 크다면 크다고 할수 있겠죠..
● 72명 채용 금액 산정 검토
구 분 임피제도입 임피제미도입 차액(도입-미도입)
16년 12억(8,000*0.3*53명) 10억(공로제) 2억
17~1⑧년 10억(8,000*0.05*137명*2년) 12억(일근제전환) -2억
계 0원
상기 2가지 검토에서 보듯 (임피제 도입 : 미도입시 본사안) 임금 손실액은 크지 않으며,
물론 임피제 도입시 일근직 전환이나 공로연수를 하지 않아도 되나
이러한 안)들이
이미 나왔기에 언제 또 구조조정시 이런 안을 들고 나올지 모를것이기에.....
오늘 동행에 각종 혜택들이 언급되어 있으나 그런 것보단 부산시설공단(퇴직후 1년 계약직으로 채용, 임금 85%), 서울도철(퇴직후 1년 근로, 임금 3,500만원?) 처럼
실질적인 정년 연장 보장이 되며, 임금 손실에 대한 보전이 있어야 할것이라 봅니다..
정말 힘듭니다 그쵸^^ 모든 조합원들 힘내시기 바라며,
제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 봅니다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