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계급 이해하기> 현대 자본주의의 계급갈등과 사회변혁 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산지니 이름으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1,174회 작성일 17-02-01 08:27본문
책 속으로
p.20 나는 마르크스주의 전통 내에서 계속 작업을 해왔지만, 더 이상 마르크스주의를 “부르주아”사회학과 어울리지 않는 포괄적인 패러다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보다 나는 특정 주제에 적합한 설명력을 갖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전통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인과과정 혹은 메커니즘들을 설명한다고 본다. 이런 서로 다른 전통들은 그들의 주장이 정당화 되는 정도에 따라 과학적 가치를 가진다. 다양한 이론적 전통들이 고안한 서로 다른 메커니즘들은 우리가 관찰하는 것들을 발생시키면서 서로 교차하고 상호작용한다.
p.36 착취와 지배 메커니즘은 자본주의 경제의 특성과 근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계급 구분, 즉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의 계급 구분을 명시한다. 기회 독점 매커니즘은 각광받는 일자리에 사람들이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는 장벽들을 만들어, 광범위한 노동계급으로부터 “중간계급”의 직종을 구별해주는 주요 메커니즘을 밝힌다... 개인의 특성과 삶의 조건 메커니즘은 개인들이 계급구조상의 다양한 위치로 분류되거나, 혹은 그런 자리로부터 완전히 주변화 되는 주요 과정들을 규명한다.
p.152 착취 개념을 불완전한 경쟁과 정보 조건하에서 자산 소유자가 얻는 이익으로 축소하지 않는다면, 경제지대 개념은 계급이론에서 착취가 강화되거나 중화되는 메커니즘들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는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p.257 하나의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구성하는 모든 위치의 객관적인 물질적 이해관계는 어떤 게임을 할 것인가 하는 게임 자체 수준과 게임규칙 수준, 그리고 게임 안에서 쓰는 수 수준에서 명시될 수 있다.
p.267 프레카리아트는 노동계급의 빠르게 성장하는 한 부문으로서, 그리고 자본주의에 하는 가장 신랄한 불만의 소지자로서, 자본주의의 규칙에 대한 쟁과 자본주의 자체에 대한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다. 하지만 그들은 온전한 하나의 계급이 아니다
p.355 대중사회세력의 성취가 안정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성취가 자본가와 다른 엘리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 일부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법은 자본가들의 이익에 최적일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그들의 이익과 공존할 필요는 있는 것이다.
p.363 적극적인 계급타협은, 자본주의 체제의 역동성으로 발생한 권력관계와 급적 이해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최소한 적극적인 계급타협에 득이 되는 몇 가지 조건을 회복하는 문제는, 혼합 형태의 경제구조에서 비자본주의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것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알라딘 : https://goo.gl/rEXhFx
예스24 : https://goo.gl/IO6Ug5
교보문고 : https://goo.gl/zXE7OQ
영풍문고 : https://goo.gl/8esaJ
반디앤루니스 : https://goo.gl/ESBRT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