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운행보다 안전이 우선이다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정시 운행보다 안전이 우선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사사고 이름으로 검색 댓글 3건 조회 2,047회 작성일 17-03-31 03:29

본문

정시 운행을 위해서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입문을 취급하는것은 아주 원시적이고 후진적인 지하철 문화이다.
백번천번 사고 없다가 한번의 출입문 사고로 치명적인 책임을 질 수가 있다.
일부러 열차의 운행을 지연시키는 기관사는 없을것이다
정시운행보다 더 중요한게 안전운행이다.
아직도 안전운행보다 정시운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는건 치명적인 인사사고가 언제던지 발생할수 있다는 상황의 연속이다.
정차시분 줄이고 스크린도아 설치하고 그런 상황에서 정시운행을 닥달 하는것은
출입문 사고 따위는 염두에 두지도 않는 안전불감증이 극에 달한 마인드가 아닐까 한다
출입문 끼임 사고로 사람이 죽을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야한다.

댓글목록

퍼옴님의 댓글

퍼옴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서울지하철의 운영 패러다임이 바뀐다. ‘정시 출발·정시 도착’에 집착하지 않고 ‘안전’으로 무게중심을 옮긴다. 서울시는 지하철의 안전기능 전반을 보강하고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8일 발표했다.

먼저 2022년까지 8370억원을 들여 21년 이상 된 2~3호선 노후 전동차 610량을 교체한다. 새 전동차에는 스크린도어가 열린 채로는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게 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이다.

노후역사 120곳의 리모델링도 진행 중이다. 또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부정승차 자동단속 시스템 등을 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유사시를 대비한 매뉴얼도 새롭게 바꾼다. 승강장 내 열차사고 발생 시에는 출입문을 전면 개방하여 승객을 차내에 대기시키지 않고 대피를 유도하며, 전동차 연기 발생 시에도 전동차 화재와 같이 승객 대피 및 화재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역무원 행동 매뉴얼을 추가한다.

차량 고장 시 관제 보고보다 승객 안내방송을 먼저 실시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지난 1월 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 화재사고 당시, 승객에 대한 대피 방송 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지하철 심야 운행시간을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는 2002년부터 평일 막차를 새벽 1시까지 운행하고 있지만 자정 이후 이용률이 저조해 연간 61억원의 손실을 떠안고 있다.

논란이었던 ‘2인 승무제’도 시범 운영키로 했다. 기관사 등 104명을 확보, 3월부터 지하철 7호선 일부 구간에서 실시한다. 시 관계자는 “완전 자동운전 시스템 도입으로 전 세계적으로 1인 승무와 무인 승무가 확대되는 추세”라면서도 “비상상황 시 기관사의 대처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 1년간 시범 운영한 후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확대 배치하고 지하철 보안관 50명도 충원하는 등 안전 담당 인력도 함께 보강한다.

전동차 교체 등 시설투자에만 2030년까지 총 7조8066억원이 드는 등 예산 확보는 숙제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무임 수송에 대한 국비 지원과 도시철도공채 판매금액의 배분 방식 변경을 요청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불감증님의 댓글

안전불감증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출입문 사고가 최악의 사고를 야기 시킬수 있다고 생각을 안하는것 같다.
그냥 잠깐 사람이나 물건이 끼었다 빠져나오는 경미한 경우만 생각하는것 같다.
유소아나 노약자의 경우 최악의 결과가 나올수 있다.

회복하라?님의 댓글

회복하라?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열차 늦다고 회복 운전 하라는건
어찌 하라는건가?
역통과 하란 말인가?
출입문을 빨리 닫아란 말인가?
일부러 늦게 닫는것도 아닌데?
걍 닫고 끼이면 열어주란 말인가?
회복하라느니...늦다느니..
이건 출입문 사고 및 병발 사고를 유발 시키는 발언이라는걸 알아주기 바란다.
늦으면 다음 승강장에 탑승객량이 많아진다는걸 모르는 바보는 없다
그런데도 독촉을 한다.
그 무전을 모두가 듣는다
결국엔 출입문 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기관사가 덤탱이를 쓴다
안전? 개뿔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2,242
어제
1,458
최대
15,069
전체
2,183,285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